행정안전부는 정부혁신 전략과
중점과제를 발표하면서
내년 지하철 버스 통합정기권 도입을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교통비를 최대 30%까지
절감해주는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를
지난해 29만명에서 올해
45만명 수준으로 확대한 데 이어
두 번째로 시행되는
교통비 부담 완화 정책입니다.
과연 언제, 어떻게 시행되는 건지
쉽고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지하철 버스 통합정기권 개요
청년과 서민의 대중교통비 절감을 위해
추진하는 이 제도는,
최대 40% 할인된 금액으로
30일간 60회까지 지하철과 버스를
환승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부 정책입니다.
예를 들어 수도권에서 10km 구간 60회
통행 시 버스와 지하철비 기준으로
총 75,000원 정도가 드는데,
통합정기권을 쓰게 되면 55,000원 정도로
책정되어 26.7%의 비용을 아낄 수 있게
된다고 합니다.
정확한 금액과 할인 금액은
전문기관 검토 결과에 따라
결정될 예정입니다.
현재는 수도권과 일부 지역에
지하철 정기권만을 시행하고 있는데
수도권 30일권은 55,000원~117,800원으로
월평균 약 10만 명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지하철과 버스를 환승해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환승 시 생기는 이점을 활용하기 위해
지하철 정기권을 구입하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비슷한 수준의 금액에서
버스와 지하철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통합정기권이 나온다면
이용자들의 수요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으리라 기대합니다.
지하철 버스 통합정기권 개시 일자
정부는 전문기관 연구과 관계기관 협의를 통해
내년 6월까지 도입을 목표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만, 통합정기권 도입 시 비용 부담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현재 서울교통공사는 연간 1조 원에 달하는
적자를 내고 있기 때문에
통합정기권 도입시 발생하는 비용 부담을
어떻게 해결할지가 관건이 될 것 같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거리두기가 해제되고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기름 값이 높아진 상황이기에
통합정기권의 도입은
모두가 환영할 대책일 것입니다.
목표한 시기 내에 효과적인
정책이 도입될 수 있기를 기대하겠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포스팅 ■
2022.11.25 - [정책꿀팁] - 2023 군인 월급 인상 (최대 130만원 수령)
2023 군인 월급 인상 (최대 130만원 수령)
충성! 2023년 국방 예산이 확정되어 군인 월급이 인상되고 내일준비적금에 대한 정부 지원 비율을 2배 이상 확대할 예정입니다. 장병 월급 인상뿐 아니라 병역의 의무를 다하는 군인들을 위해 여
blog.yamttum.com
'경제 > 경제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투세, 코인 과세 2023년 시행될까? (0) | 2022.11.28 |
---|---|
퇴사자 연말정산 방법 총정리 (이직자 포함) (0) | 2022.11.25 |
실업급여 조건, 나도 받을 수 있을까? (0) | 2022.11.09 |
퇴직금 산정에 휴가 및 휴직이 영향을 미칠까? (0) | 2022.11.04 |
퇴직금 지급기준 및 계산 방법 쉽게 알아보자 (0) | 2022.11.03 |
댓글